COVER의 커버리지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

  • COVER와 CT 2024.12에서 사용하는 컴파일 플래그가 동일한지 확인
    • 커버리지를 측정할 때 전처리 파일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컴파일 플래그가 다른 경우 전처리 파일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이 경우 COVER와 CT 2024.12의 컴파일 플래그를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2. COVER를 실행하여 커버리지를 측정합니다.
      3. COVER에서 커버리지 데이터를 내보낸 후 CT 2024.12에서 커버리지 가져오기 기능을 수행하여 COVER에서 커버리지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void testFunction(){
    int a;
    int b;
//CT에서는 CT_FLAG라는 매크로를 추가하고 커버에서는 추가하지 않은 경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
#ifdef CT_FLAG
     callFunction();
#endif
}

  • COVER와 CT 2024.12의 bodyhash가 동일한지 확인
    • COVER와 CT 2024.12에서 같은 함수의 bodyhash의 값이 다르게 계산되어 커버리지 가져오기가 실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ut.ini 파일에 EXCLUDE_BODYHASH_CVR_IMPORT=true 옵션을 추가하면 bodyhash의 값이 다르더라도 커버리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ut.ini 경로 : %프로젝트 경로%\.csdata\ut.ini

특정 소스 파일에 포함된 “함수 및 커버리지 정보“를 가져오기 못하는 경우

커버리지를 가져오는 중 “일부 함수의 커버리지 정보를 가져오지 못하였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며, 특정 소스 파일에 포함된 “함수 및 커버리지 정보“를 모두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아래 두 가지 사항을 확인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 COVER에서 커버리지를 내보낸 프로젝트의 소스 파일 이름과 CT 2024.12에서 커버리지를 가져올 프로젝트의 소스 파일 이름이 동일한지 확인하고 다르다면 동일하게 변경합니다.
    1. CT 2024.12의 소스 파일 이름을 COVER의 소스 파일 이름과 동일하게 변경 후 재분석
    2. COVER 커버리지 가져오기
  • 소스 파일에 .C 확장자가 포함된 경우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CT 2024.12와 COVER가 해당 파일을 동일한 언어로 취급하도록 변경한 후, COVER의 커버리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소스 파일 확장자 변경
      1. .C 파일의 확장자를 .c로 변경 후 재분석
      2. COVER 커버리지 가져오기
    • CT 2024.12의 [소스 파일 확장자] 설정 변경
      1. [프로젝트 특성] -> [소스 파일 확장자] -> [C/C++ 확장자 목록]에서 *.C 확장자 선택 후 [제거]를 클릭
      2. [프로젝트 특성] -> [소스 파일 확장자] -> [C/C++ 확장자 목록]에서 [추가]를 클릭 후 *.C 확장자를 c소스 파일 타입으로 선택
      3. [확인] 및 [적용 후 닫기]
      4. 프로젝트 재분석
      5. COVER 커버리지 가져오기

COVER의 커버리지를 가져온 후, 커버리지 값이 다를 때

커버리지를 가져온 후 COVER와 CT 2024.12에 표시되는 커버리지가 다르다면 다음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 커버리지의 모수가 다를 때
    • 모수가 다르다면 파일별로 모수를 확인하여 커버리지가 달라지는 대상을 특정해야 합니다.
    • COVER와 CT 2024.12의 커버리지 측정 대상이 다르다면 대상이 아닌 함수를 측정 제외하여 모수를 맞춰줍니다.
  • 모수가 같고 커버리지 결과가 다를 때
    • 모수가 같고 커버리지 결과가 다르면 특정 함수의 커버리지를 가져오지 못한 것입니다.
    • 커버리지 파일(.csd)과 프로젝트 로그 파일을 수집하여 매뉴얼의 [문제 해결] 페이지 하단의 연락처로 연락 바랍니다.

Need more help with this?
Don’t hesitate to contact us here.

Thanks for your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