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 환경에서 프로젝트 생성 및 분석, 테스트 케이스 생성, 실행, 테스트 결과 보고서 생성 등 CT 2024.12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CT 2024.12에서 [프로젝트] – [CLI 설정 파일 만들기]를 선택하여, CLI.ini 파일을 생성합니다.
- CLI.ini파일을 페이지 하단의 [CLI 설정 파일 편집하기]를 참고하여 편집합니다.
-e -w "%workSpacePath%" --ini -O "%iniFilePath%"
명령어를 사용하여 테스트 연관 기능을 수행합니다.
CLI 설정 파일 만들기
CLI 환경에서 CT 2024.12를 실행하기 위한 설정 파일을 생성합니다.
CLI 설정 파일 편집하기
[Project] – 프로젝트 정보
항목 | 설명 |
---|---|
create | 프로젝트 생성 여부 |
cpi_file | create=true인 경우,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cpi 파일 경로 |
force | create=true인 경우, 같은 이름의 프로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삭제 후 생성 |
name | 프로젝트 이름 |
toolchain | 툴체인 이름 (RTV 프로젝트이면 작성) |
target_project | 타깃 프로젝트 이름 (RTV 프로젝트이면 작성) |
[Synchronize] – 파일 시스템 동기화
항목 | 설명 |
---|---|
run | 파일 시스템 동기화 수행 여부, 삭제된 파일을 프로젝트에서 자동 제거 |
add_new_files | 추가된 파일을 프로젝트에 자동 추가할지 여부 |
[Analysis] – 분석
항목 | 설명 |
---|---|
run | 분석 수행 여부 |
[InitializeTest] – 테스트 초기화
항목 | 설명 |
---|---|
run | true일 경우 기존 테스트 모두 삭제 |
[CreateTest] – 유닛 테스트 생성
항목 | 설명 |
---|---|
run | 유닛 테스트 생성 여부 |
target_function | 유닛 테스트 생성을 위한 함수 이름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함수에 대한 유닛 테스트 생성이 가능 여러 개의 함수를 입력할 경우, 세미콜론(;) 또는 엔터(Enter)로 구분 가능 target_function 목록이 없는 경우 모든 함수에 대하여 유닛 테스트 생성 |
isolate | 테스트 대상 함수를 분리하기 위한 스텁 생성 여부 |
skip_existing_tests | 테스트가 없는 함수만을 대상으로 테스트 생성 여부 target_function 목록이 없는 경우에만 동작 |
[CreateTestCase] – 테스트 케이스 생성
항목 | 설명 |
---|---|
run | 테스트 케이스 생성 여부 |
only_for_empty_tests | 테스트 케이스가 없는 테스트만을 대상으로 테스트 케이스 생성 여부 |
mode | 테스트 케이스 생성 모드(flat, pairwise, random) |
random_testcase_count | random일 경우 생성되는 테스트 케이스 개수 입력 |
[ImportTestInfo] – 테스트 정보 일괄 가져오기
항목 | 설명 |
---|---|
run | 테스트 정보 가져오기 수행 여부 |
testinfo_file | testinfo.export 파일의 경로 |
include_fault_injection | 결함 주입 포함 여부 |
[ExecuteTest] – 유닛 테스트 실행
항목 | 설명 |
---|---|
run | 유닛 테스트 실행 여부 |
remote_target | RTV 실행 여부 |
run_robust | 테스트 실행 중 오류 발생 시, 실행 불가능한 테스트 제외 여부 |
only_build | 테스트 실행 없이 빌드만 수행 |
build_option_file_path | 컴파일 커맨드 옵션 파일 경로 |
[Report] – 보고서 생성
항목 | 설명 |
---|---|
run | 보고서 생성 여부 |
output_dir | 보고서 출력 경로 기본 출력 경로는 프로젝트 경로 |
include_project_info | 프로젝트 정보 포함 여부 |
test_env_kind | 보고서 생성 종류(1: Host, 2: RTV or Target) |
each_test | 테스트별 보고서 생성 여부 |
jenkins_test_result | Jenkins 결과 파일 경로 |
HTML, XLSX, PDF, DOCX, PPTX |
보고서 형식 지정 |
테스트 정보 개별 가져오기
[ImportStub] – 스텁 가져오기
항목 | 설명 |
---|---|
run | 스텁 가져오기 수행 여부 |
stub_file | 스텁 파일 경로 |
stub_dir | 스텁 디렉터리 경로 |
[ImportTest] – 테스트 가져오기
항목 | 설명 |
---|---|
run | 테스트 가져오기 수행 여부 |
test_source_file | .utest 파일 경로 여러 개의 소스 파일 경로를 입력할 경우 세미콜론(;) 또는 엔터(Enter)로 구분 가능 |
test_source_dir | 테스트 소스 디렉터리 경로 테스트 소스 디렉터리 경로를 입력할 경우 디렉터리 경로에 포함된 전체 테스트 가져오기 수행 |
[ImportTestCase] – 테스트 케이스 가져오기
항목 | 설명 |
---|---|
run | 테스트 가져오기 수행 여부 |
testcase_dir | 테스트 케이스 디렉터리 경로 테스트 케이스 디렉터리 경로를 입력할 경우 디렉터리 경로에 포함된 전체 테스트 케이스 가져오기 수행 |
[ImportIntegrationTest] – 통합 테스트와 테스트 케이스 가져오기
항목 | 설명 |
---|---|
run | 통합 테스트와 테스트 케이스 가져오기 수행 여부 |
test_file | .itest 파일 경로 |
test_dir | .itest 파일의 공통된 상위 경로 테스트와 테스트 케이스가 같은 디렉터리에 있으면 가져오기 수행 |
CPI 파일 만들기
CPI 파일은 CLI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파일입니다. CLI.ini 파일의 [Project] – create 옵션을 true로 설정되어야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CT 2024.12 설치 경로\plugins\com.codescroll.gp.cli_버전\cpi
경로의 CPI 템플릿 파일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항목 | 설명 |
---|---|
KIND | 프로젝트 생성 타입 설정 일반 프로젝트 =1 빌드 스크립트 가져오기 = 2 비주얼 스튜디오 가져오기 =3 임베디드 프로젝트 가져오기 = 4 |
NAME | 프로젝트 이름 |
LANGUAGE | 프로젝트 종류 Java = 0, C/C++ = 1 |
SourceFileProject
항목 | 설명 |
---|---|
IUT_LANGUAGE | 대상 언어 유형 C=0, C++=1, Java=2 |
LINKFLAG | 링크 플래그 |
COMMON_COMPILEFLAG | 모든 TU에 적용할 컴파일 플래그 |
TOOLCHAIN_NAME | 툴체인 이름 |
BINARY_KIND | 바이너리 종류 |
SOURCE_TOP_DIR | 소스 파일 최상위 디렉터리 |
SOURCE | 소스 파일 절대 경로 |
COMPILEFLAG | 소스 파일에만 적용할 컴파일 플래그 |
COMPILERPATH | 소스 파일에만 적용할 컴파일러 경로 |
VisualStudioPorject
항목 | 설명 |
---|---|
PROJECT_PATH | 가져오기를 할 비주얼 스튜디오 프로젝트 파일 |
ENVFILE | 가져오기 시 필요한 환경 변수 |
BuildScriptProject
항목 | 설명 |
---|---|
BUILD_COMMAND | 가져오기를 수행할 빌드 스크립트 |
WORKING_DIRECTORY | 가져오기를 수행할 작업 디렉터리 |
ENVFILE | 가져오기 시 필요한 환경 변수 |
EmbeddedProject
항목 | 설명 |
---|---|
COMMON_COMPILEFLAG | 모든 소스 파일에 적용할 컴파일 플래그 |
TOOLCHAIN_NAME | 툴체인 이름 |
PROJECT_PATH | 가져오기를 수행할 비주얼 스튜디오 프로젝트 파일 |
Need more help with this?
Don’t hesitate to contact us here.